목록Service || Server (51)
백지부터 시작하는 이세계 코딩 생활

Reference 의 내용을 스크랩함. 개념 참고용으로 스크랩을 함. DAO(Data Access Object) DTO(Data Transfer Object) Entity Class package 구조에 따른 흐름 controller(web) 기능 해당 요청 url에 따라 적절한 view와 mapping 처리 @Autowired Service를 통해 service의 method를 이용 적절한 ResponseEntity(DTO)를 body에 담아 Client에 반환 @Controller API와 view를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에 사용 대신 API 서비스로 사용하는 경우는 @ResponseBody를 사용하여 객체를 반환한다. view(화면) return이 주목적 @RestController view가 필요없..
요약 리눅스 운영체제는 크게 CentOS와 Ubuntu로 나누어집니다. 정의 리눅스(Linux)는 1991년 9월 17일 리누스 토르발스가 처음 출시한 운영 체제 커널인 리눅스 커널에 기반을 둔 오픈 소스 유닉스 계열 운영 체제 계열이다. 리눅스는 일반적으로 리눅스 배포판 안에 패키지 처리된다. Ref. ㅁ 리눅스 개요 https://ko.wikipedia.org/wiki/%EB%A6%AC%EB%88%85%EC%8A%A4 ㅁ 운영체제 비교 https://coconuts.tistory.com/175
HA 와 RAC 모두 DB 서버 구성과 관련된 내용이다. 고가용성을 위해 만들어진 구성이다. HA (High Availability) DabaBase HA구성 or DataBase 이중화 하는 방식이다. 여러개의 Database Server를 세팅하여 Active - Active or Active - Standby로 동작 한다. 일부의 Database Server에 문제가 발생하여도 서비스에 이상이 없도록 구성 한다. 모든 Database Server는 모두 공통된 최신 데이터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DB Replication) 전달되는 각종 Request들이 여러 Database Server 전달되어 실행되는 분산 환경이 구성되어있어야 한다. (Load Balance) Active - Standby의..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Debug.Assert 'Debug.Assert'는 조건이 펄스(false)일 때 동작하는 메소드. throw Exception 'throw Exception'는 디버그 모드에서는 중단점 처럼 동작. Ref. ㅁ https://blog.danggun.net/4677
Ref. ㅁ 애널리틱스 시작, 계정생성, 추적코드 설치 : ga-study.tistory.com/4 [GA] 구글애널리틱스 시작, 계정 생성하고 추적코드 설치하기 #1. GA 계정 생성 GA 계정 생성은 매우 간단하다. Google 계정이 있는 누구나가 google analytics를 검색, 계정 생성에 동의하기만 하면 나만의 GA 계정을 만들 수 있다. stpe1. 구글애널리틱스 홈페이지 방 ga-study.tistory.com ㅁ 추적코드 적용 : mindthelog.com/2014/06/ecommerce-%EC%A0%84%EC%9E%90%EC%83%81%EA%B1%B0%EB%9E%98-%EC%BD%94%EB%93%9C-%EC%84%A4%EC%A0%95/ 구글 애널리틱스 전자상거래 분석 #2 추적코드..
Reference 요약 : 가장 빠르고 쉽게 API서버를 구축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 : Node.js의 Express 프레임워크를 이용 Node.js 의 Express 프레임워크 환경에서 API서버를 구축하는 과정을 설명. Ref. ㅁ 만드는 방법 : hanswsw.tistory.com/18
node express 사용, postman 사용, REST api 생성하는 방법 라우팅, 유사 CURD : GET, POST, PUT, DELETE 요약 설명 : 서버의 자원을 정의하고 자원에 대한 주소를 지정하는 방법 REST API를 사용한 주소 체계를 RESTful하다고 표현함 주소와 HTTP 요청 메서드(GET, POST, PUT, PATCH, DELETE) 사용 GET: 서버 자원 가져오기 POST: 서버에 자원 등록 PUT: 서버 자원 치환 PATCH: 서버 자원 일부 치환 DELETE: 서버 자원 삭제 예: GET 메서드의 /user 주소로 요청을 보내면 사용자 정보를 가져오는 요청임을 알 수 있음 REST 의 주요 목표 는 다음과 같습니다. 구성 요소 상호 작용의 확장 성 인터페이스의 일..